반응형

전체 글 46

쿠버네티스 컨테이너 타임존 설정하기(Setting the Kubernetes container timezone)

쿠버네티스로 컨테이너를 배포하다보면 기본 타임존이 UTC로 설정이 되어 있는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배포시 타임존 설정을 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용 Nginx를 배포하고 타임존을 확인해보겠습니다. nginx.yaml 파일 작성 apiVersion: apps/v1 # 쿠버네티스 api 버전 kind: Deployment # 생성할 오브젝트 종류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 deployment의 이름 labels: app: nginx # label 지정 spec: # deployment의 스펙을 정의 replicas: 1 # 1개의 pod 설정 selector: # deployment가 관리할 pod를 찾는 방법을 정의 matchLabels: app: n..

Kubernetes에 ELK(Kibana) 구축하기 #3

k8s에 Kibana를 구축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Kibana 구축 이전에 Elasticsearch와 Logstash 구축 방법이 필요하신 분은 아래를 참조 하세요. k8s에 Elasticsearch 구축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2022.06.16 - [프로그래밍 개발(Development)/k8s] - Kubernetes에 ELK(Elasticsearch) 구축하기 #1 Kubernetes에 ELK(Elasticsearch) 구축하기 #1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는 분산형 RESTful 검색 및 분석 엔진으로 엘라스틱 스택(Elastic Stack)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엘라스틱 스택은 차세대 데이터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Elastic Sta choco..

Kubernetes에 ELK(Logstash) 구축하기 #2

k8s에 Elasticsearch 구축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2022.06.16 - [프로그래밍 개발(Development)/k8s] - Kubernetes에 ELK(Elasticsearch) 구축하기 #1 Kubernetes에 ELK(Elasticsearch) 구축하기 #1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는 분산형 RESTful 검색 및 분석 엔진으로 엘라스틱 스택(Elastic Stack)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엘라스틱 스택은 차세대 데이터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Elastic Sta choco-life.tistory.com 이번에는 elasticseach가 구축 되었으니, Logstash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Logstash 1. logstash-con..

Kubernetes에 ELK(Elasticsearch) 구축하기 #1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는 분산형 RESTful 검색 및 분석 엔진으로 엘라스틱 스택(Elastic Stack)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엘라스틱 스택은 차세대 데이터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Elastic Stack의 주요 기술은 아래와 같습니다. Elasticsearch : 검색·분석·데이터 저장소 역할 Beats : 데이터 수집 역할(Filebeat, Metricbeat, Packetbeat, Winlogbeat, Auditbeat, Heartbeat, Functionbeat) Logstash : 정제·전처리를 수행 Kibana : 시각화·관리 기능 Linux 또는 Wondows에 직접 설치가 가능하나, 컨테이너로 배포시 scale-out의 장점과 OS의 따른 영향을 받지 않..

Docker Private(local) Registry 구축하기(ubuntu 20.04)

Docker Registry를 쉽게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Private Registry로 docker.io/registry가 있습니다. 인터넷이 되는 환경에서 Docker가 설치 되어 있다는 전제 조건으로 Private Registry를 쉽게 구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pec - ubuntu 20.04 - docker ※ Private Registry는 registry 컨테이너가 삭제되면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매우 주의 하셔야 합니다. Docker Registry 설치하기 1. Docker registry Image 가져오기(Pull registry image) $ docker pull registry:latest Trying to pull reposito..

Kubernetes Dashboard 설치(Install k8s dashboard)

kubernetes 설치 방법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자. 2022.05.23 - [프로그래밍 개발(Development)/k8s] - 우분투에 Kubernetes 설치하기 (Installing Kubernetes on Ubuntu) 우분투에 Kubernetes 설치하기 (Installing Kubernetes on Ubuntu) Spec - OS : ubuntu server 20.04 - vm : 2vm(2core, 4mb, 50GB) (master node, worker node) K8s 설치 이전에 Docker 설치를 우선 진행 한다. Before installing K8s, install Docker first. OS의 기본 환경 설.. choco-life.tistory.com kubernetes ..

우분투에 Kubernetes 설치하기 (Installing Kubernetes on Ubuntu)

Spec - OS : ubuntu server 20.04 - vm : 2vm(2core, 4mb, 50GB) (master node, worker node) K8s 설치 이전에 Docker 설치를 우선 진행 한다. Before installing K8s, install Docker first. OS의 기본 환경 설정은 minimal로 설치 후 openssh 정도만 설치 해 주었다. ※ 모든 설치는 root 계정으로 진행한다. 공통 요소 1. Docker 설치 더보기 repository 설정하기 apt package index를 업데이트 하고 HTTPS를 통해 repository 를 이용하기 위해 pakcage 들을 설치 한다. $ apt-get update $ apt-get -y install \ apt..

RUN, CMD, ENTRYPOINT 명령어의 개념과 차이점

도커 파일(Dockerfile) 작성시 사용되는 명령문 중에 실행과 관련된 명령어는 RUN, CMD, ENTRYPOINT 가 있다. 각각의 명령어를 쉽고 빠르게 이해해보자. RUN RUN 명령문는 쉘(shell)에서 커맨드를 실행하는 것처럼 이미지 빌드 과정에서 필요한 커맨드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통 이미지 안에 특정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된다. FROM python:lastest RUN apt-get -y install vim RUN pip instlal -r requirements.txt RUN useradd -r username 실행 시점 : 이미지 빌드 ENTRYPOINT ENTRYPOINT 명령문는 CMD 명령문와 비슷하지만, 컨테이너를 띄울 때 항상 실행되야 하는 커맨드..

Web Server와 WAS의 차이?

웹 서버와 WAS의 차이가 무엇일까? 웹 서버는 정적 데이터, WAS는 동적 데이터를 제공한다라고 알고 있다. 웹 서버와 WAS의 기본 개념은 아래를 참고 하자. 2022.04.21 - [프로그래밍 개발(Development)/Web] - Web Server, WAS, Web Application 이란? Web Server, WAS, Web Application 이란? 웹 개발을 하다보면 Web Server, WAS, Web Application 용어를 많이 들어봤지만, 헷갈리는 경우가 있어 다시 한번 정리를 해보자. 1. Web Server(웹서버) 란? 웹 브라우저(Web Browser)와 같은 클라이언트(Client).. choco-life.tistory.com 그렇다면 먼저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

Web Server, WAS, Web Application 이란?

웹 개발을 하다보면 Web Server, WAS, Web Application 용어를 많이 들어봤지만, 헷갈리는 경우가 있어 다시 한번 정리를 해보자. 1. Web Server(웹서버) 란? 웹 브라우저(Web Browser)와 같은 클라이언트(Client)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서, HTML 문서나 정적인 오브젝트(이미지 파일 등)를 전송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즉, 쉽게 말하면 웹 페이지를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웹 서버는 Apache, IIS, Nginx, GWS 등이 있다. 2. Web Application Server(WAS) 란? 웹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환경을 만들어 동작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 인터넷 상에서 HTTP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나 장치에 애..

반응형